|
에피루스 채워도 채워지지 않는 옷장의 비밀 - 美친 존재감의 심리
|
저자 |
| |
임윤선 |
출판사 |
| |
나비의활주로 |
등록일 |
| |
2016-08-31 |
출판일 |
| |
2015-02-27 |
지원기기 |
| |
PC
스마트폰 태블릿
|
형태/용량 |
| |
/
1.32MByte
|
대출/예약현황 |
| |
0
0
1
|
|
|
한양대학교 일반대학원 응용미술학과 예술치료전공 석?박사. 현재 한양대 교육대학원 예술치료교육학과 겸임교수, 한국예술치료교육학회 부회장, 한양대 사회교육원 미술치료사 기초·전문가 심화 과정 주임교수, NGO 국제문화나눔재단 COPE 자문위원, Beauty Art Therapy 연구소 대표로 있다. brbr
지은 책으로 《마음을 열어주는 미술치료》 《미술치료여행노트》, 관련 논문으로 〈예술인의 우울증과 자살에 관한 예술치료의 필요성에 대한 연구〉가 있다.
여자의 옷장에는 왜 항상 입을 옷이 없을까? 당신의 옷장은 당신의 심리를 반영한다.
“옷은 많은데, 입을 옷이 없어.” 여자들은 입버릇처럼 말한다. 입을 옷이 없다고. 옷장 속에는 한가득 옷들이 즐비하지만, 언제나 입을 옷이 없다는 여자들의 문제는 단지 옷장의 문제인가 아니면 다른 문제인가? 복잡하고 치열한 경쟁 속에서 스스로의 아름다움을 추구하기란 쉽지 않은 일이다. 대다수의 사람들이 옷장을 열고 고민하는 것. 옷장에 옷은 가득한데 막상 입으려면 입을 만한 게 없다는 이 문제의 원인은 아마도 ‘마음’일 것 있다. 바쁘고 힘든 세상 속에서 패션이고 진정한 아름다움을 찾는 것이 쉽지 않다는 것, 또한 많은 이들이 패션을 통해 솔직한 자신을 표현하고 살아가기 보다는 자신 본연의 모습을 숨기고 회피하며 살아가면서 남들을 의식하며 다양한 목적으로 패션을 이용하는 것이 그 이유라 하겠다. 《옷장의 비밀》은 항상 입을 옷이 없어 고민하는 여자들이 자기 자신의 삶에 좀 더 충실하고자 하는 노력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내면에 있는 또 다른 모습을 발견하고 일상의 패션을 통해 행복한 삶으로의 변화를 꾀하는 데 도움을 주고자 스스로를 되돌아보고 진단할 수 있게 하였다. 더불어 한국 사회에 걸맞은 맞춤형 심리치유의 방법론을 오랜 시간 연구한 저자가 제시하는 패션을 이용한 테라피를 통해 스스로를 치유하고 자존심과 자존감은 키울 수 있도록 하였다. 이 책에서는 그동안의 패션 심리에 대해 궁금했던 것을 풀어주는 실마리를 쉽게 설명한다. 옷장 속은 옷들로 가득한데도 막상 입을 옷이 없다는 모순된 심리는, 패션 딜레마의 문제가 아닌 자신의 감정적 반응을 통해서 나타나는 현상임을 설명하고, 옷장에 가득한 옷들은 지나온 삶을 대변해주기도 하고 삶의 경험, 태도, 감정, 상태, 나아가 미래에 대한 희망까지 포함한 삶의 모든 것들이 깃들어 있다는 것을 알려주고 있다. 그리고 옷에는 다양한 감정과 다이내믹한 일련의 과거들이 내재되어 있어 절대로 가볍지 않은 의미들이 담겨져 있음을 설명한다. 구매한 여러 패션 아이템들 안에는 그때마다 지닌 무의식적 본능이 고스란히 담겨 있음을 알려주며, 자신의 감정 상태에 따라 패션을 통해 자신을 찾고 정체성 및 자존감을 찾아가는 여러 가지 팁을 제공하고 있다. 또한 각 장들은 패션을 통한 심리 엿보기에만 그치는 게 아니라 폭넓게는 주변 사람들의 패션 심리상태까지도 엿볼 수 있는 현실적인 내용을 담았다. 그밖에도 패션을 통한 자신감과 자존감이 형성될 수 있게 이끄는 각종 셀프 테라피에 대한 내용도 함께 설명하였다.
Chapter 1 채워도 채워지지 않는 옷장의 비밀 여자의 옷장은 자신의 자존심과 자존감을 반영하여 감정과 심리를 대변하는 곳이다. 옷장의 상태를 통해 과거와 현재를 진단하고 스스로를 되돌아 볼 수 있다. 또한 삶의 위안을 받고자 습관처럼 하는 쇼핑 중독에 대한 진단과 쇼핑 중독에서 벗어나는 노하우를 제시한다.
Chapter 2 패션으로 소통하는 나와 너, 그리고 우리 한국인에게 패션이란 무엇인가? 상처받고 힘든 삶을 보상받고자 외모꾸미기와 명품에 열광하는 한국인에 대한 비판적 시각과 집단중심 사회에 대한 다양한 관점에 대해 패션에 빗대어 차근히 설명한다.
Chapter 3 패션에 숨겨진 늑대와 여우의 심리 패션 취향에 따른 남녀의 패션에 대한 시각적 차이를 자세히 설명하고 있다. 화장, 의상, 자동차 등 모든 아이템에 대해 심리적 접근을 포함한 다양한 관점을 담았다. 또한 자신의 마음을 알아볼 수 있도록 심리테스트 등의 여러 장치로 스스로 점검할 수 있도록 하였다.
Chapter 4 마음을 다스리는 패션 아트 테라피 패션을 통해 자신감과 자존감이 형성되도록 마음을 다스리고 위로받는 방법을 자세히 설명한다. 혼자서도 충분히 할 수 있는 다양한 패션 아트 테라피 방법을 제시하였다.
프롤로그 Chapter 01 채워도 채워지지 않는 옷장의 비밀 Chapter 02 패션으로 소통하는 나와 너, 그리고 우리 Chapter 03 패션에 숨겨진 늑대와 여우의 심리 Chapter 04 마음을 다스리는 패션 아트 테라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