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품소개 |
「현대사회봉사론」은 자원봉사 활동이 시민 공동체 생활의 첫걸음임을 밝히고, 인간의 '참 행복'이 무엇이며 어떤 삶의 방식에서 얻어지는가를 찾도록 한다.
국가간의 경쟁으로 세계화가 더 격화되고 시장원리와 경쟁중심으로 기울고 있는 21세기에 나눔ㆍ보듬ㆍ돌봄을 통하여 이웃과 더불어 사는 우리 민족의 아름다운 생활방식을 촉구하고 사회봉사를 사회과학적 방법으로 설명하고 있는 책이다.
'이웃을 돕는 일'이 사회적 공동책임임을 논증해서 모두를 이 공동책임군(群) 안에서 살게 하고, 사회봉사가 시민 각자의 의무이며 기업의 사회적 책임이라고 규정되었을 때 특히 사회지도층에게는 이제 '흠 없는 도덕성'보다는 '실적 있는 봉사성'을 평가의 척도로 삼을 것을 촉구하고 있다.
사회봉사의 헌법질서적 구상과 인간의 삶과 사회봉사의 의미, 사회봉사의 성격과 범위, 사회봉사의 연구방법론 등을 수록하고 있다.
목차 |
제1편 사회봉사의 기초적 이해
제2편 사회복지의 이론적 틀
제3편 사회봉사의 기본사상과 태도지향
제4편 자원봉사의 인류문화사적 변화의 힘
제5편 사회봉사 거버넌스의 기본지행과 개선
제6편 사회봉사의 체계적 관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