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으로
도서관홈
전자책홈
카테고리
CATEGORY
신간도서신간도서
[ 161 ]
신간도서
가정/생활
[262]

가정/생활
경제/비즈니스
[745]

경제/비즈니스
대학교재
[290]

대학교재
문학
[1785]

문학
문화/예술
[113]

문화/예술
사회
[202]

사회
수험서/자격증
[15]

수험서/자격증
어린이
[299]

어린이
에세이/산문
[222]

에세이/산문
역사
[154]

역사
외국어
[648]

외국어
인문
[368]

인문
자연/과학
[68]

자연/과학
장르문학
[38]

장르문학
종교/역학
[21]

종교/역학
취미/여행
[219]

취미/여행
컴퓨터/인터넷
[164]

컴퓨터/인터넷
 
검색
도서정보
꼭 알고 싶은 심리학의 모든 것 - 심리학에 관한 150개의 개념들
에피루스
꼭 알고 싶은 심리학의 모든 것 - 심리학에 관한 150개의 개념들
저자 | 강현식
출판사 | 소울메이트
등록일 | 2011-08-22
출판일 | 2011-01-28
지원기기 |
 PC 
스마트폰
 
태블릿
형태/용량 | IMGB / 0MByte
대출/예약현황 | 대출 0 예약 0 보유수량 2
대출하기
저자소개
심리학과로 학사 편입을 하기 위해 인터넷으로 정보를 찾던 중 심리학이나 심리학과, 심리학자에 대한 정확한 정보가 턱없이 부족함을 알게 되었다. 이후 학사 편입으로 심리학도가 된 이후 클럽 심리학을 공부하는 사람들을 개설해 심리학에 대한 다양한 정보와 자료를 공유하는 장場을 열었다. 클럽 회원들의 요청으로 시작된 심리학 개론 스터디는 심리통계, 상담심리, 자기분석, 참만남 집단, 대학원 입시강좌 등 다양한 모임으로 발전했다. 여러 모임에서 심리학을 궁금해하는 사람들을 만나면서 정확한 심리학 지식을 쉽고 재미있게 전달하는 일에 관심을 가지게 되었다. 현재 심리학 전문 강사와 심리학 칼럼니스트로 활동하면서 『심리학으로 보는 조선왕조실록』, 『그 어머니들의 자녀교육 심리』 등 여러 권의 심리학 대중서를 출간했다.
작품소개
심리학 대중서와 전공서의 가교 역할을 하는 책

어느 분야든지 대중서와 전공서의 차이는 존재하지만, 심리학은 그 중에서도 이 둘의 차이가 꽤 큰 편이다. 시중의 심리학책은 내용이 엇비슷해서 몇 권만 읽어보면 더이상 읽을 필요가 없을 정도고, 심리학 전공서는 너무 어려워서 일반인들이 읽기 어려운 게 현실이다. 그러다 보니 전공자들은 흥미와 재미 위주의 심리학 대중서를 외면할 수밖에 없고, 대중은 당연히 복잡한 실험방법과 통계 수치, 그리고 낯선 심리학자들의 이름으로 가득한 전공서를 외면할 수밖에 없다. 이런 문제의식에서 출발한 이 책은 심리학 대중서와 전공서의 믿음직한 가교 역할을 한다.
저자는 심리학에 대한 대중의 기대에 어느 정도 부응하면서도 가능한 학문으로서의 심리학의 입장을 많이 담아내려고 노력했다. 150개의 심리학 핵심개념어를 간결하면서도 통찰력 있게 풀이했으며, 중요한 실험은 구체적인 수치나 세부적인 진행 상황까지 담으려고 했으며, 독자의 쉬운 이해를 위해 가능한 한 많은 예시를 들려고 했다. 필요할 경우 영화나 대중가요, 다큐멘터리 내용도 언급했다. 흥미와 재미 위주가 아닌 보다 객관적이고 다양한 정보를 얻을 수 있는 심리학책을 원하는 사람들이나, 심리학을 전공하고자 하는 사람들이 읽어보면 좋을 책이다.
목차
지은이의 말brㄱbrㄴbrㄷbrㄹbrㅁbrㅂbrㅅbrㅇbrㅈbrㅊbrㅋbrㅌbrㅍbrㅎbr기타br가나다 찾아보기brABC 찾아보기br인명 찾아보기
LOGIN
도서관에서 로그인 후 이용하세요.
로그인
내서재 정보
  • 로그인 후 이용하세요.
  •  
    Notice More+
    등록된 공지사항이 없습니다.
    FAQ More+
  • FAQ  “화면 캡쳐 프로그램” 관련 에러 발생
  • FAQ  “비정상적인 요청이므로 문서를 열 수 없습니다”라는 에러 발생
  • FAQ  “해당 도서관에서 정식으로 구매한 기록이 없어 인증에 실패하였습니다.”라는 에러
  • FAQ  “다운로드 중 오류가 발생했습니다.”라는 에러 발생
  • FAQ  팝업차단으로 책읽기 안 될 때(상태표시줄에는 표시되나 새창이 뜨지않음)
  • (전공)대학교재 바로가기
    mobile help 바로가기
    어린이 전자책 도서관 바로가기
    부산경상대학교 전공도서관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