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에피루스 방송산업과 정책의 이해 (개정판)
|
저자 |
| |
정인숙 |
출판사 |
| |
커뮤니케이션북스 |
등록일 |
| |
2014-07-21 |
출판일 |
| |
2012-08-06 |
지원기기 |
| |
PC
스마트폰 태블릿
|
형태/용량 |
| |
/
0MByte
|
대출/예약현황 |
| |
0
0
1
|
|
|
가천대학교 신문방송학과 교수이다. 한국외국어대학교 신문방송학과를 졸업했다. 고려대학교에서 석사학위를, 한국외국어대학교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방송위원회와 청운대학교 방송영상산업학과에 재직했으며, 한국언론학회, 한국방송학회, 한국언론정보학회, 한국여성커뮤니케이션학회, 한국커뮤니케이션학회 등의 이사를 역임했다./br 저서로는 『방송정책 이론과 방법론』(2007), 『한국의 지상파방송사 경영 전략』(2006, 공저), 『세계의 지상파방송사 경영 전략』(2006, 공저), 『커뮤니케이션 핵심 이론』(2005, 공저), 『현대 매스미디어의 이해』(2004, 공저) 등이 있으며, 역서로는 영국의 디지털 전환 과정을 다룬 『디지털 텔레비전으로 가는 길』(2008)이 있다. 그 밖에 “디지털 전환정책에 대한 형성평가분석”(2008), “MMS와 디지털공익성”(2007), “한미FTA가 미디어 시장의 다양성에 미치는 영향”(2006), “방송시장에서의 공정경쟁 기본원칙과 불공정거래 행위분석”(2004), “방송기술정책결정요인 연구: 지상파DTV를 중심으로”(2003), “1990년 이후 방송사업자 인허가정책에 대한 평가”(2002) 등 방송정책 관련 다수의 논문을 썼다.
방송산업과 정책의 구조와 기본 원리는 무엇인가? 미디어 융합은 방송산업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방송통신위원회, IPTV, 데이터방송, 디지털TV 전환, 한미FTA와 방송시장 개방까지 급변하는 방송산업과 정책 이슈의 핵심을 짚는다. 방송산업의 범주와 추세, 규제체계, 매체별 산업구조와 정책 현안, 국내외 방송정책기구 등을 알기 쉽게 설명했다.
3차 개정판 서문br2차 개정판 서문br개정판 서문br초판 서문br1부 방송산업의 범주와 추세br 1 방송산업의 분류와 특징br 2 방송·통신의 융합br2부 방송산업에의 진입과 규제br 3 방송산업의 진입 규제br 4 방송산업의 소유 규제br 5 방송산업의 내용 규제br 6 방송산업의 가격 규제br 7 기술 규제와 자율 규제br3부 매체별 산업 구조와 정책br 8 방송사의 경영 구조br 9 지상파방송의 산업과 정책br 10 케이블 TV 산업과 정책br 11 위성방송 산업과 정책br 12 이동멀티미디어방송(DMB)의 산업구조와 정책br 13 데이터방송의 산업구조와 정책br 14 인터넷방송의 산업구조와 정책br4부 방송정책결정구조br 15 방송정책과 권력br 16 외국의 방송정책결정구조br 17 한국의 방송정책결정구조br5부 디지털 전환과 방송시장 개방br 18 디지털TV 전환br 19 한미FTA와 방송시장의 개방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