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책임자 : 이경숙(경북대학교) br
편 집 자 : 김부태(경북대학교) br
공동연구자 : 김종혁(배재대학교) br
김부태(경북대학교) br
손종현(대구가톨릭대학교) br
안상헌(경북대학교) br
윤선진(경북대학교) br
조정봉(UNIST) br
주재술(UNIST) br
정해일(대구교육대학교) br
추헌택(경북대학교)
연구책임자 : 이경숙(경북대학교) br
편 집 자 : 김부태(경북대학교) br 공동연구자 : 김종혁(배재대학교) br 김부태(경북대학교) br 손종현(대구가톨릭대학교) br 안상헌(경북대학교) br 윤선진(경북대학교) br 조정봉(UNIST) br 주재술(UNIST) br 정해일(대구교육대학교) br 추헌택(경북대학교)
한국사회의 맹모들에 대한 담론
교육 때문에 한번이라도 이사를 해본 사람이라면… 한국사회의 과도한 교육열은 교육기회의 불평등이 심화시켰고, 지방은 중앙중심의 거센 조류에 밀려 학력학벌사회의 소외된 변방이 되었다. 이제 교육 혹은 학력학벌의 추구가 지역변수와 결부되면서, 한국교육은 떠남과 남겨짐의 현장이 되었다. 중앙을 향한 떠남은 소수의 사회적 성공과 연결되고, 교육은 성공한 소수 모델을 이상으로 제시하고 부추겼다. 전략으로서 떠남이 있는 자리에, 머뭄, 남음, 뿌리내림은 남겨짐이 되고, 남겨진 곳의 삶과 교육은 현장의 황폐화와 삶의 고단함을 역설하고 있다. 이 책에서는 해방 이후 교육과 관련된 이주의 역사를 살펴보고 우리가 정립해야 할 대안 교육론을 모색해본다.
머리말br01 교육, 공간, 삶br02 해외 이주자들의 교육과 삶br03 국내 교육이주자들의 교육과 삶br04 학습형사회의 교육론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