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으로
도서관홈
전자책홈
카테고리
CATEGORY
신간도서신간도서
[ 161 ]
신간도서
가정/생활
[262]

가정/생활
경제/비즈니스
[745]

경제/비즈니스
대학교재
[290]

대학교재
문학
[1785]

문학
문화/예술
[113]

문화/예술
사회
[202]

사회
수험서/자격증
[15]

수험서/자격증
어린이
[299]

어린이
에세이/산문
[222]

에세이/산문
역사
[154]

역사
외국어
[648]

외국어
인문
[368]

인문
자연/과학
[68]

자연/과학
장르문학
[38]

장르문학
종교/역학
[21]

종교/역학
취미/여행
[219]

취미/여행
컴퓨터/인터넷
[164]

컴퓨터/인터넷
 
검색
도서정보
마법의 코칭 - 인생 이모작 사관학교 맥아더스쿨
에피루스
마법의 코칭 - 인생 이모작 사관학교 맥아더스쿨
저자 | 정은상
출판사 | 리치바닐라
등록일 | 2016-08-31
출판일 | 2016-04-27
지원기기 |
 PC 
스마트폰
 
태블릿
형태/용량 | XML / 1.11MByte
대출/예약현황 | 대출 0 예약 0 보유수량 1
대출하기
저자소개
20년간 삼미그룹과 씨티은행에서 직장생활을 하고 46세에 명예퇴직한 후 10년간 부동산자산관리사, 전문경영인, 교육사업가, 경영컨설턴트, 웃음강연자 등 다양한 일을 경험했다.
2009년 말 스마트폰을 접하고 나서 아날로그와 디지털 세상을 뛰어넘어 스마트 세상에 푹 빠져들었다.
50대 후반이 되자 가까운 친구들이 일모작 직장을 마친 후 100세 시대의 남은 후반기 인생을 어떻게 지내야 할지 몰라 전전긍긍하는 것을 보고 스마트폰과 SNS를 활용한 퍼스널 브랜딩에 눈을 뜨기 시작하여 마법의 일대일 코칭을 하고 있다.
“직업 속에 직업 있다”는 생각과 일자리는 만들어야 한다는 신념을 가지고 이제는 퍼스널 브랜딩 코치, 아이패드 화가, 모바일 쿠킹 코치, 아티스트 코치, 맥 코치, 아이패드 닥터, 스마트 트래블 코치 등 새로운 직업을 만드는 ‘창직(創職)’ 전문가로 활약하고 있다.
작품소개
맥아더스쿨 개교 전후의 눈부신 실전 기록

맥아더스쿨 정은상 교장은 2009년 말 스마트폰인 아이폰3가 처음 국내에 보급될 때 호기심으로 구입한 것이 계기가 되어 스마트폰, 페이스북, 유튜브, 네이버블로그, 워드프레스, 핀터레스트, 오즈메일러, 드롭박스, 에버노트, 구글 드라이버 등 다양한 SNS 플랫폼을 배우고 익혀 주변의 지인들에게 코칭을 하기 시작했다.
아날로그 시대를 거쳐 디지털 시대를 맞이한 첫 세대로서 스마트 세상을 여는 선봉장을 자임한 정은상 교장은 2013년 6월 맥아더스쿨을 개교하여 지금까지 170여 명에게 퍼스널브랜딩(Personal Branding)에 대한 마법의 코칭 통해 스스로 첫 번째 직업을 만들었고, 두 번째로 아이패드 화가, 세 번째로 모바일쿠킹스쿨을 만든 창직(創職) 전문가가 되었다.

왜 맥아더스쿨인가? 왜 일대일 코칭인가?

1950년 9월 15일 인천상륙작전을 진두지휘했던 맥아더 장군을 모르는 사람은 없지만, 그때 그의 나이가 70세였다는 사실은 아는 사람이 별로 없다. 1950년에 70세였다면 지금 나이로는 80세 또는 85세에 해당한다고 하니, ‘맥아더스쿨’은 100세 시대를 살아가는 삶의 지혜를 제공하는 ‘인생이모작사관학교’의 이름으로 안성맞춤인 셈이다.
맥아더스쿨의 가장 큰 특징인 일대일 코칭은 중장년 일모작 졸업생들을 신의 선물인 스마트 세상으로 안내하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이라는 점에서 감히 『마법의 코칭』이라고 일컬었다. 50대 후반 또는 60대 초반에 일모작 직장을 졸업한 베이비부머들이 맥아더스쿨의 코칭에 따라 스스로 생각을 바꾸고 실행에 옮기면 이모작 인생을 얼마든지 보람 있게 설계할 수 있다.

베이비부머들의 이모작 인생을 위한 신바람 추임새

정은상 교장의 『마법의 코칭』은 머리로 쓴 글이 아니라 뜨거운 가슴으로 쓰고 활기 넘치는 몸으로 쓴 글이다. 삶의 실제 현장을 무대로 직접 체험한 내용을 글로 썼기 때문에 인생이모작의 신입생들에게는 금과옥조(金科玉條)인 셈이다.
*내 꿈은 내가 꾸고, 내 길은 스스로 개척하라.
*이모작 인생의 답은 봉사와 이타행(利他行)이다.
*나만의 ‘가지 않은 길’을 재발견하라.
*돈보다 배움, 실적보다 가치 추구로 행복지수를 높여라.
*멘토를 모시고 코칭을 활용하라.
*스마트 기기와 SNS로 무장하라.
*적게 말하고 많이 들으면서 나눔을 실천하라.
*100세 시대를 위한 이모작 청사진을 마련하라.
*느리게 살면서 인생의 참맛을 깨달아라.
*생각할 짬이 있으면 몸을 조금이라도 더 움직여라.
『마법의 코칭』에는 이런 이슈들에 대한 정은상 교장의 실천 사례가 빼곡하게 수록되어 있어서 가히 ‘인생이모작사관학교’의 전범(典範)이라고 할 만하다.
목차
작가 소개
책머리에
제1부 맥아더스쿨 코칭 네트워크
제2부 이모작의 풍경
어제보다 내일을 살자
제2의 인생, 글쓰기로 시작하라
소통지수(CQ)를 높여라
행복은 자신이 찾고 누리는 것
삶은 길고 할 일은 많다
5060세대여 고개 숙이지 마라
이젠 아빠를 부탁해
베이비붐과 이모작 붐
페이스북 친구
많이 듣고 적게 말하자
인생이모작, 배우자와 함께 하라
CEO도 인생이모작을 준비해야 한다
홀로서기를 연습하라
때를 기다리지 말고 찾아 나서라
이타심이 답이다
리딩Reading 즐기기
시행착오를 거듭하라
매력 있는 사람
여성 인재를 키워라
1인 미디어를 활용하라
가치관이 먼저다
가측은지심惻隱之心의 인생이모작
네거티브 시스템
완벽함보다 유연함을 택하라
가슴이 두근거린다면
마이웨이
제3부 마음먹기 달렸다
5060세대여 일어나라
마이웨이My Way
인생이모작은 자신감이 우선이다
베이비부머들이여, 스마트기기로 무장하라
베이비부머와 인생이모작
꾸준함이 이긴다
스마트 에이징Smart Aging
약점을 말하지 말라
다시 꿈을 꾸는 인생이모작
현명하게 나이 들기
스마트세상, 들어가 보지 않으면 모른다
과거를 묻지 마세요
인간관계를 중시하라
변화의 중심에 우뚝 서라
자신을 당당하게 표현하라
느리게 더 느리게
60대의 변신
내 나이가 어때서
과거는 잊어라
행복지수를 높여라
인생이모작, 긴장감을 즐겨라
절제의 유익
직장도 학교다
성공은 과정이다
골든타임
느리게 살자
제4부 이모작 인생, 창직이 답이다
시니어가 스마트smart하게 살아가기
고령화 문제는 고령자들이 풀어야
고령화와 저출산 문제는 대가족이 답이다
평생직장과 꿈의 직업은 없다
내:일my job은 내가 만든다
갈매기의 꿈
소셜 홍보 전문가가 필요하다
내 안에 잠든 브랜드를 깨워라
인생 스토리가 브랜드다
인적자원을 되살리자
내:일과 나의 브랜드
디테일을 습관화하라
인생이모작, 새로운 일을 만들라
이모작이지만 그래도 돈이다?
일 근육筋肉
일자리 만들 수 있다
물건을 팔기 전에 먼저 마음을 사라
취미에서 브랜드를 찾는다
창직에 전념하라
이모작에도 길은 있다
이모작을 위해 남겨둔 가지 않은 길
평생교육과 이모작
창직으로 이모작하라
직업 속에 직업 있다
투잡two jobs
뒤집어 보기
인생이모작 코디네이터
퇴직은 없다, 창직이다
멀리 가려면 함께 가라
잡 마인드
제5부 맥아더스쿨, 코칭의 마력
나이는 숫자에 불과하다
인생이모작을 준비하라
인생이모작, 사람을 구하라
5070세대여 5070세대여, 입을 닫지 말라
행복한 인생이모작
평생학습, 몸으로 배운다
스타일부터 바꿔보자
배움은 계속되어야 한다
돈보다 배움의 기회를 택하라
이제 요리를 하자
사람을 통해 배운다
나눔의 비밀
의심하지 말라
창의성은 질문으로부터 나온다
튀어야 산다
러빙 유Loving You
잠재력 끌어내기
맥아더스쿨의 작은 혁명
코칭을 통해 자신감을 얻다
LOGIN
도서관에서 로그인 후 이용하세요.
로그인
내서재 정보
  • 로그인 후 이용하세요.
  •  
    Notice More+
    등록된 공지사항이 없습니다.
    FAQ More+
  • FAQ  “화면 캡쳐 프로그램” 관련 에러 발생
  • FAQ  “비정상적인 요청이므로 문서를 열 수 없습니다”라는 에러 발생
  • FAQ  “해당 도서관에서 정식으로 구매한 기록이 없어 인증에 실패하였습니다.”라는 에러
  • FAQ  “다운로드 중 오류가 발생했습니다.”라는 에러 발생
  • FAQ  팝업차단으로 책읽기 안 될 때(상태표시줄에는 표시되나 새창이 뜨지않음)
  • (전공)대학교재 바로가기
    mobile help 바로가기
    어린이 전자책 도서관 바로가기
    부산경상대학교 전공도서관 바로가기